본문 바로가기

일급객체

(2)
[코틀린] 일급 객체로서의 함수 코틀린에서 함수가 일급 객체로 활용되는 부분에 대해서 살펴보겠다. 코틀린의 함수 내에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다. fun superFun() { val superData = "hello" fun subFun1() { println("subFun1() .. superData : $superData") } fun subFun2(a: Int, b: Int): Int { subFun1() return a + b } class SubClass{ fun classFun(){ println("classFun() .. superData : ${superData}") } } subFun1() SubClass().classFun() } 함수를 클래스에 포함하지 않고, 함수 내부에 변수, 함수, 클래스를 선언했다..
[코틀린]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? 현대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. 코틀린도 마찬가지로 함수형 프로그래밍(Functional Programming, 약어로 FP)을 위한 많은 기법을 제공한다. 일단,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일종의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.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의 역사가 절차지향에서 객체지향으로 변화했듯이 요즘에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떠오르고 있다. 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. * 절차지향 프로그래밍 - 알고리즘과 로직 중심으로 문제 해결이 주목적 (ex c, pascal) *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- 클래스 선언이 최우선,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할 메서드를 하나로 묶어 객체로 만들고 객체를 조합해서 프로그래밍을 작성 객체를 만들기 위한 추상화, 캡슐화, 상..